제 3자에게 접속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빠르고 안전한 접속 프로그램입니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동안, 내가 방문하는 사이트를 남들이 감시하는 것이 싫으신가요? 제 3자에게 접속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려면, 세이프비지트 SAFEVISIT 를 사용하세요. 세이프비지트를 사용할 경우 프라이버시보호가 보장됩니다. 작동원리는 네트웍패킷을 파편화입니다. 프록시서버를 사용하지 않아 빠르고 안전합니다. VPN 보다 10배 빠릅니다.
(위의 프로그램 설명은 SafeVisit 공식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사용하기 위하여 먼저, SafeVisit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바랍니다.
(설치(Setup) 또는 압축(Zip)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SafeVisit(세이프비지트) 사용 방법
사용하기 편리하게 만들어져 있어 사용 방법 또한 간단합니다.
SafeVisit를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여집니다.
Connect를 클릭하면 보안 접속을 시도합니다.
위와 같이 기존의 'Connect' 가Disconnect로 변경 되었으면 보안 접속 연결이 완료 된것입니다.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면톱니 바퀴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설정 화면이 보여집니다.
현재 글 작성일(2019.2.14) 기준 'Tray Menu Translation Fixed'라는 제목으로 올라와있는 파일이 최신 버전이며, 한국어는 없고 영어로 되어있습니다.
사용중인 Windows 시스템 종류에 따라서 다운로드해 설치하면 됩니다. 32비트는 GoodByeDPI_GUI_32Bit.zip 파일을, 64비트는 GoodByeDPI_GUI_64Bit.zip를 다운로드하면 되는데, 이를 잘 모르는 경우에는 32비트로 다운로드해 설치해도 무방합니다.
파일을 다운로드한 다음 압축을 해제하여 바탕화면이 아닌 루트에 파일을 복사하면 되는데, 여기서 폴더 경로와 이름에 한글이 들어가면 안됩니다. (예: C:\Program Files\GoodByeDPI_GUI, D:\Programs\GoodByeDPI_GUI 등)
복사가 끝났으면GoodByeDPI GUI.exe파일을 실행합니다.
프로그램 실행하여 Parameter List에 'all_dnsredir'로 체크 되었는지 확인하고Start만 누르면 자동으로 설정이 완료 됩니다.
반대로 프로그램 사용을 중지하려면Stop를 누르면 됩니다.
아래의 화면과 같이Filter activated!가 보여지면 이제 접속이 차단된 웹 사이트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GoodByeDPI GUI 환경 설정 관련 정보
다음과 같은 환경 설정 변경으로 더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Start위에 있는 Setting을 누르면Software Settings화면이 보여지는데, 여기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GoodByeDPI GUI 환경 설정
설정 이름
기본값
Minimize to Tray
시작표시줄 트레이 아이콘으로 축소합니다.
Disable Notifications
알림을 해제합니다.
Add Startup
Windows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합니다.
프로그램 실행 후 닫기(X)를 눌러 닫아도 종료가 되지 않고 기본적으로 트레이에 아이콘으로 표기됩니다. 아이콘 위에 마우스를 올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메뉴가 호출되고, 여기서 시작, 정지, 설정 등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는 제품의 GA(일반 공급) 날짜로부터 최소 5년 동안 또는 후속 제품이 릴리스된 이후 2년 동안(둘 중 더 긴 기간) 일반 지원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새 버전의 Windows를 구입하고 5년 후 다른 버전이 릴리스되면 이전 버전에 대해 2년 동안 여전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장 지원
Microsoft는 제품의 GA(일반 공급) 날짜로부터 최소 5년 동안 또는 두 번째 후속 제품(두 버전 이후)이 릴리스된 이후 2년 동안(둘 중 더 긴 기간) 연장 지원을 제공합니다.
Microsoft Windows 기술 지원 기간 정보
Service Pack(서비스 팩)이 적용되지 않은 Windows 7(윈도우 7) RTM에 대한 지원이 2013년 4월 9일자로 종료되었습니다. Windows 7(윈도우 7) Service Pack 1(서비스 팩 1)을 설치하셔야 지원 및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Microsoft Windows 기술 지원 기간 정보
운영 체제(OS)
최신 업데이트/서비스 팩
일반 지원 종료
연장 지원 종료
Windows XP(윈도우 XP)
Service Pack 3(서비스 팩 3)
2009년 4월 14일
2014년 4월 8일
Windows Vista(윈도우 비스타)
Service Pack 2(서비스팩 2)
2012년 4월 10일
2017년 4월 11일
Windows 7(윈도우 7)
Service Pack 1(서비스 팩 1)
2015년 1월 13일
2020년 1월 14일
Windows 8(윈도우 8)
Windows 8.1(윈도우 8.1)
2018년 1월 9일
2023년 1월 10일
Microsoft Windows Service Pack(서비스 팩)과 업데이트(Update)
IMEI 정보가 이통사에 사전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도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분실/도난 등 신고된 단말기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여 통신을 차단하는 제도입니다.
제조사, 대형마트, 해외 유통 업체 등 이통사 이외의 유통망에서 구매하여 IMEI 정보가 이동통신사에 사전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도, 이동통신사의 USIM을 장착하면 통신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단말 특성(지원 주파수, OS, 화면 크기, 해상도 등)에 따라 서비스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USIM이 장착되지 않는 CDMA(2G) 단말기는 적용되지 않으며, 통신사 중 SK텔레콤과 KT에서 우선 실시합니다. (LG U+는 ’12년 하반기 참여 예정)
분실/도난 단말은 이동통신사를 통해 신고 접수가 가능하며, 해당 단말의 IMEI 정보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의 중앙관리센터에 등록되어 통신 서비스 사용이 차단됩니다.
기존제도(화이트리스트)와의 비교표
이동통신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 비교표
구분
기존 제도 (화이트리스트)
단말기지급제 (블랙리스트)
통신서비스
사전 등록된 단말만 통신 허용
신고된 단말기만 통신 차단
IMEI 관리
이동통신사가 관리
개인 또는 이동통신사 관리 (개통단말)
분실/신고 단말정보 관리
이동통신사가 관리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통합 관리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란 이동전화 단말기를 출고할 때 제조사가 부여하는 단말기 국제고유 식별번호(15자리)로, 통신 서비스 제공 시 단말기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값입니다.
IMEI 식별번호 구성 및 내용
구분
자리수
내용(설명)
TAC(Type Allocation Code)
AA
IMEI 인증기관 고유 번호
TAC(Type Allocation Code)
BBBB CC
승인번호(Allocation code)
SN(Serial Number)
DDDDDD
단말기 고유 번호
CD(Check Digit)
E
EIR 등록 검증용 번호
IMEI는 이동전화 단말기 박스, 휴대폰의 S/W 정보, 단말 외부(배터리 등)에 표기 되어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
이동전화 단말기 자급제(블랙리스트) 서비스 이용방법
국내 이동통신사가 유통하지 않은 단말(IMEI 사전 미등록 단말)로 이동통신사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USIM 기변 사용
USIM 기변 방법: 단말기에 USIM 장착 → 단말기 전원 켜기 → 약 1분 후 전원을 다시 껐다 켜기(타사 단말은 추가 반복 필요)
(전원을 On/Off하는 이유: 타사 단말 확인(1회) 및 KAIT 통합관리센터에서 분실/도난 단말 여부 확인(1회) 목적으로, 타사 단말의 경우에는 전원 On/Off를 2회 실시해야 합니다. (단, 이동통신사가 유통하는 단말 중 개통 이력 없는 단말은 기존처럼 USIM 기변 사용 불가합니다.))
USIM 기변 시에는 통신사가 고객님의 단말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3G(WCDMA) 휴대폰 기준으로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일반 3G 휴대폰이 아닌 경우(LTE, 블랙베리, 태블릿 PC, 모뎀 등) 이동통신사의 공식 대리점/지점에 방문하셔서 이용을 희망하는 단말에 적합한 모델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대리점/지점 방문 개통(신규가입 및 기기변경)
공식 대리점/지점에 방문하시면 고객님의 단말기에 적합한 모델로 개통이 가능합니다.
구매하신 곳에서 해당 단말 정보(3GǚG 여부, 지원 주파수 대역, 태블릿/모뎀 여부 등)를 충분히 확인하시어, 대리점/지점 방문 개통 시 매장 직원에게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매장 직원으로부터 단말 이용 시 주의사항(단말에 따른 품질 저하, 서비스 제한 가능성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OMD 단말 가입 확인서’를 반드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태블릿, 모뎀 등 특수 단말은 지점 방문을 통해서만 전용 요금제 가입/개통이 가능합니다.
이동전화 단말기 자급제(블랙리스트) 서비스 이용 단말의 분실/도난 신고 방법
방송통신위원회 제도 가이드에 따라 이용중인 통신사를 통해 아래와 같이 분실/도난 신고가 가능합니다.
신고 접수 채널: 이동통신사의 대리점, 지점, 고객센터, 홈페이지
이용 중인 이동전화번호 또는 IMEI 정보를 기준으로 분실/도난 신고가 가능합니다. (이동통신사 유통 단말의 기존 절차와 동일)